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이동형영상정보처리기기
- 귀환운송의무
- 부채무자
- 대금감액청구권
- 계약교섭
- 고정형영상정보처리기기
- 부당파기
- 소멸시효
- 제척기간
- 채권총칙
- 부담부분
- 행정절차론
- 영상정보처리기기
- 민법채권총칙
- 청문주재자
- 민법
- 신뢰이익
- 보증채무효력
- 행정절차법
- 구상권
- 청문
- 취소
- 보증채무성립요건
- 신속청구권
- 채권자지체
- 연대채무
- 행정절차
- 보증채무
- 민법용어
- 손해배상청구권
Archives
- Today
- Total
Legal_Hub
계약 교섭의 부당파기 요건 및 효력 본문
계약교섭의 부당파기
계약 교섭의 부당파기 문제는 민사법상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, 계약이 체결되기 전에 한 당사자가 상대방과의 교섭을 부당하게 중단하거나 파기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. 이는 계약 체결 전 단계에서 법률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복잡한 문제입니다.
1. 계약체결상의 과실 책임 적용
- 과실 책임의 적용: 계약 교섭의 부당파기 문제에서는 계약 체결 상태에 따라 과실 책임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A가 B와의 계약 교섭을 중단한 경우, A가 부당행위를 저질렀다고 판단되면 A에게 과실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.
예시: A와 B가 건설 계약을 위한 교섭을 진행 중이었습니다. 그러나 A가 교섭 도중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의도적으로 중단하여 계약이 성사되지 않았습니다. 이 경우 A는 계약 교섭 상의 부당행위로 인해 과실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습니다.
2. 계약 교섭 부당 파기 요건
- 믿을 만한 교섭행위: 계약 교섭 부당파기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믿을 만한 계약 교섭행위가 있었을 것으로 요구됩니다. 즉, 당사자 간의 합리적인 교섭 과정이 필요합니다.
- 부당한 계약 파기: 교섭이 부당하게 파기되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. 즉, 상대방의 합리적인 기대를 무시하거나 위반한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.
- 체결 의무자의 인식: 계약을 체결해야 할 당사자가 파기 행위에 대해 알고 있었거나 알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
- 상대방의 선의: 상대방이 선의를 가지고 있거나 무과실해야 합니다. 즉, 상대방이 부당한 행위를 알지 못하고 있었거나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를 말합니다.
예시: A와 B 사이에 잠정적인 계약이 성립하기 위한 교섭이 이루어졌습니다. 그러나 A가 부당한 이유로 교섭을 중단했고, 이로 인해 B가 손해를 입었습니다. 이 경우 A는 부당행위로 인한 과실 책임을 지며, 교섭이 불공정하게 파기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3. 계약 교섭 부당 파기의 효력
- 계약의 불성립: 계약 교섭 부당파기로 인해 계약이 무효화되며, 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하던 의무가 소멸됩니다. 이로 인해 당사자들은 상호적인 의무를 이행할 필요가 없어집니다.
- 신뢰이익의 손해배상: 교섭 파기로 인해 상대방이 기대한 이익이 상실된 경우, 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예상되는 계약 이익에 비례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.
- 불법행위 손해배상 책임: 교섭 부당파기가 불법행위로 간주될 경우, 상대방에게 손해를 입힌 부당행위에 대한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교섭 과정에서의 불법성이나 부정한 행위에 기인한 경우에 해당합니다.
예시: A와 B 사이에 부동산 임대 계약을 위한 교섭이 이루어졌습니다. 그러나 A가 교섭을 부당하게 파기하여 계약이 성립되지 않았습니다. 이로 인해 B는 다른 임차인을 찾지 못하고 손해를 입었습니다. 이 경우 A는 부당한 교섭 파기로 인한 불법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, B에게 손해배상을 지급해야 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계약 교섭의 부당파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요건과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'민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대채무의 성질과 효력 관련 주요 민법 용어 정리 (1) | 2024.03.19 |
---|---|
환매와 재매매의 예약 (2) | 2024.03.18 |
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상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 규정 (4) | 2024.03.18 |
여행주최자의 의무와 담보책임 (0) | 2024.03.18 |
신뢰이익의 손해배상 (0) | 2024.03.18 |